맨위로가기

사비나 야나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비나 야나투는 그리스의 가수이자 작곡가로, 클래식 기타를 배우고 합창단에서 활동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아테네에서 성악을 공부하고 런던의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에서 수학한 후, 1979년 프로 가수로 데뷔하여 다양한 언어로 15개 이상의 앨범을 발표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재즈와 전통 그리스 음악 연주자들과 함께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 밴드를 결성하여 세파르딕 및 지중해 음악을 탐구했으며, 보컬 기법을 확장했다. 야나투는 또한 연극, 무용극, 비디오 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음악을 작곡했으며, ECM 레이블에서 앨범을 발매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 동문 - 토마스 아데스
    토마스 아데스는 런던 출신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서,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와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에서 음악 교육을 받고 다양한 관현악곡과 오페라, 실내악 작품을 작곡했으며, 복잡하고 혁신적인 화성과 리듬, 극적인 표현력으로 평가받고 수많은 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 동문 - 데이브 홀랜드
    잉글랜드 출신의 재즈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인 데이브 홀랜드는 마일스 데이비스 밴드 합류를 통해 이름을 알렸으며, 칙 코리아, 스탠 게츠 등 유명 음악가들과 협연하고 게이트웨이 밴드를 결성하는 등 활발한 활동과 그래미상 수상으로 음악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 그리스어 가수 - 사키스 루바스
    그리스의 대표적인 팝 가수이자 배우, 방송 진행자인 사키스 루바스는 1991년 데뷔 후 플래티넘 앨범들을 발매하며 그리스 최고 스타로 자리매김했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그리스 대표로 참가하거나 진행을 맡았으며, 영화 출연 및 TV 프로그램 진행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그리스어 가수 - 스테파니아 리베라카키스
    스테파니아 리베라카키스는 그리스와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는 가수이자 배우, 성우로, 걸그룹 키세스 멤버로서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고 솔로 가수로 데뷔했으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그리스 대표로 참가, 영화와 TV 시리즈에 출연하며 배우로도 활동한다.
사비나 야나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Σαβίνα Γιαννάτου (엘)
출생일1959년 3월 16일
출생지아테네, 그리스
사비나 야나투 2009년 사진
사비나 야나투 (2009년 4월)
직업가수, 작곡가
악기보컬, 기타
웹사이트사비나 야나투 공식 웹사이트

2. 생애 및 활동

사비나 야나투는 어린 시절 클래식 기타 레슨을 받고 어린이 합창단에서 활동하며 음악적 기초를 다졌다.[1] 이후 아테네런던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에서 전문적인 성악 및 공연 기술을 공부했다.[1]

1979년 프로 가수로 데뷔했으며,[1] 1981년에는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은 앨범 Εδώ Λιλιπούπολη|에도 릴리푸폴리el("리리푸폴리스 여기") 녹음에 참여하며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1] 이후 그리스 음악을 기반으로 엔테흐노, 현대 음악, 고대 음악, 전통 음악, 프리 재즈, 아방가르드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폭넓은 음악 활동을 펼쳤다.[14][15] 그녀는 후두 발성, 방언, 율동 등을 포함하는 독특한 성악 기법을 개발하고 확장해 나갔다.

1990년대 중반에는 재즈전통 음악 연주자들과 함께 밴드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Primavera en Salonico)를 결성했다. 이 밴드는 처음에는 세파르딕과 지중해 음악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점차 세계 여러 지역의 음악으로 영역을 확장했다. 또한 배리 가이, 피터 코왈드, 다모 스즈키 등 다양한 국적의 국제적인 음악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협업했다.[2]

가수 활동 외에도 작곡가로서 꾸준히 활동하며 자신의 앨범을 발표하고, 연극, 무용극, 비디오 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에 음악을 제공했다.[3] 초기에는 주로 그리스 음반사 ''Lyra''를 통해 앨범을 발매했으며, 2005년 ''Sumiglia'' 앨범 이후로는 세계적인 레이블 ECM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6] 때때로 워크숍을 통해 배우와 음악가들에게 보컬 즉흥 연주를 가르치기도 한다.[4][5]

2. 1. 초기 활동 (1979년 ~ 1990년대 초)

어린 시절 클래식 기타 레슨을 받고 야니스 누시아스의 어린이 합창단에서 활동했다.[1] 이후 그리스 국립 음악원에서 공부하고, 아테네에서 Σπύρος Σακκάς|스피로스 사카스el에게 성악 워크숍 지도를 받았다. 장학금을 받아 런던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퍼포먼스 기술을 연구하며 대학원 과정을 마쳤다.[1]

1979년부터 전문 가수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그리스 국립 라디오 3에서 Μάνος Χατζιδάκις|마노스 하지다키스el가 진행하는 프로그램 'Edo Lilipuli'에 고정 출연했다. 1981년에는 처음으로 동명의 앨범 'Edo Lilipuli' 녹음에 참여하여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1] 이후 여러 그리스 작곡가들과 협력하며 경력을 쌓아나갔다.

특히 Έντεχνο|엔테흐노el 음악 분야에서 Λένα Πλάτωνος|레나 플라토노스el, Μιχάλης Γρηγορίου|미하리스 그리고리우el, Δημήτρης Μαραγκόπουλος|디미트리스 마라코풀로스el, Βαγγέλης Κατσούλης|방겔리스 카추리스el, Νίκος Μαμαγκάκης|니코스 마망가키스el, Νίκος Κυπουργός|니코스 키프르고스el 등 저명한 작곡가들과 협업했다. 또한 현대 오페라와 현대 음악에도 참여했으며, 고대 음악 앙상블(Εργαστήρι Παλιάς Μουσικής)의 창립 멤버로서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음악 등 초기 음악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14] 1985년에는 앨범 'Νανουρίσματα'(Nanourismata)를 통해 처음으로 그리스 전통 음악을 다루었다.[15]

1990년대 초반에는 프리 즉흥 연주 실험을 시작하여 음악적 영역을 더욱 확장했다. 이 시기 독일베이스 연주자 페터 코바르트와 그리스의 클라리넷 및 색소폰 연주자 Φλώρος Φλωρίδης|플로로스 플로리디스el와 함께 트리오로 활동하기도 했다. 초기부터 작곡 활동도 병행하여 자신의 앨범 수록곡이나 연극, 무용극, 비디오 아트를 위한 음악을 만들었다.[3] 그녀의 초기 앨범은 대부분 그리스 음반사 ''Lyra''에서 발매되었다.[6]

2. 2.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와 지중해 음악 탐구 (1990년대 중반 ~ 현재)

1990년대 초반, 야나투는 프리 즉흥 연주 실험을 시작하여 독일베이스 연주자 페터 코바르트와 그리스의 클라리넷/색소폰 연주자 플로로스 플로리디스(Φλώρος Φλωρίδης / Floros Floridis)와 함께 트리오로 연주했다. 1994년에는 퍼커션 연주자 니코스 툴리아토스(Νίκος Τουλιάτος / Nikos Touliatos)와 함께 즉흥 연주 앨범을 발표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 테살로니키 대학교 제노폰 코콜리스(Xenophon Kokolis) 교수의 위촉으로 테살로니키(살로니카) 지역 세파르딤의 전승곡을 복원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1995년 앨범 ''Ανοιξη στη Σαλονίκη''(Anixi Sti Salonici, 살로니카의 봄)가 발표되었으며, 이 앨범의 레코딩 멤버들을 중심으로 밴드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Primavera En Salonico)가 결성되었다. 이 밴드는 엄선된 재즈전통 그리스 음악 연주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초기에는 세파르딕과 지중해 지역의 노래를 주로 해석했으나 점차 세계 여러 지역의 음악으로 범위를 넓혀나갔다.

이 시기 야나투는 자신의 성악 기법을 더욱 확장하여 후두 발성, 방언, 율동 등 다양한 소리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또한 프리 재즈아방가르드 음악에 대한 탐구를 꾸준히 이어갔다. 이러한 음악적 탐구는 배리 가이, 피터 코왈드, 플로로스 플로리디스, 귄터 피치하이더, 밴드 BPM의 제럴드 프라인팔크, 켄 반데르마크, 수산 데이힘, 크라우트록 그룹 Can의 다모 스즈키, 앙상블 콘스탄티노플의 키야 타바시안 등 여러 국제적인 음악가들과의 협업으로 이어졌다.[2]

2003년에는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와 함께 작업한 라이브 앨범 ''Terra Nostra''(2001년 녹음, Lyra 레이블 발매)가 ECM을 통해 재발매되었고, 이를 계기로 미국 투어를 진행하기도 했다. 야나투는 ''Sumiglia'' 앨범(2005년) 발표 이후 현재까지 ECM 소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6]

2. 3. 다양한 음악적 시도와 협업

엔테흐노 송(Έντεχνο|엔테흐노el, 아트 송) 연주자로서 레나 플라토노스( Λένα Πλάτωνος|레나 플라토노스el ), 미하리스 그리고리우( Μιχάλης Γρηγορίου|미하리스 그리고리우el ), 디미트리스 마라코풀로스( Δημήτρης Μαραγκόπουλος|디미트리스 마라코풀로스el ), 방겔리스 카추리스( Βαγγέλης Κατσούλης|방겔리스 카추리스el ), 니코스 마망가키스( Νίκος Μαμαγκάκης|니코스 마망가키스el ), 니코스 키프르고스( Νίκος Κυπουργός|니코스 키프르고스el ) 등 저명한 그리스 작곡가들과 협업했다.[14] 또한 현대 오페라와 현대 음악에도 참여했으며, 이후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고대 음악으로 관심을 넓혔다.[14] 그녀는 고대 음악 앙상블 'Εργαστήρι Παλιάς Μουσικής|에르가스티리 팔리아스 무시키스el'의 창립 멤버이기도 하다. 1985년 발표한 앨범 'Νανουρίσματα|나누리스마타el'(Nanourismata)에서는 처음으로 그리스 전통 음악을 다루었다.[15]

1990년대 초반부터는 프리 즉흥 연주 실험을 시작하여, 독일베이스 연주자 페터 코바르트와 그리스의 클라리넷 및 색소폰 연주자 플로로스 플로리디스( Φλώρος Φλωρίδης|플로로스 플로리디스el )와 함께 트리오로 활동했다. 1994년에는 타악기 연주자 니코스 툴리아토스( Νίκος Τουλιάτος|니코스 툴리아토스el )와 즉흥 연주 앨범을 발표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 야나투는 재즈 및 전통 음악 연주자들과 함께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Primavera en Salonico)라는 밴드를 결성했다. 이는 테살로니키 대학교의 제노폰 코콜리스 교수가 테살로니키 지역에서 불리던 세파르딤의 전승곡 연구 및 복원 프로젝트를 위촉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1995년 앨범 'Ανοιξη στη Σαλονίκη|아닉시 스티 살로니키el'(Anixi Sti Salonici, 살로니키의 봄)가 발표되었고, 당시 녹음 멤버들이 주축이 되어 밴드가 결성된 것이다.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는 처음에는 세파르딕 음악과 지중해 지역의 노래를 주로 연주했으나, 점차 활동 범위를 넓혀 세계 여러 지역의 음악을 다루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야나투는 후두 발성, 방언, 율동 등을 포함하는 보컬 확장 기법을 발전시켰다.

야나투는 프리 재즈아방가르드 음악 탐구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왔다. 이러한 관심은 배리 가이, 피터 코왈드, 플로로스 플로리디스, 귄터 피치하이더, 밴드 BPM의 제럴드 프라인팔크, 켄 반데르마크, 수산 데이힘, 크라우트록 그룹 Can의 보컬리스트였던 다모 스즈키, 앙상블 콘스탄티노플의 키야 타바시안 등 다양한 국제적 음악가들과의 무대 협연 및 녹음 세션으로 이어졌다.[2]

2001년에는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와의 라이브 앨범 'Terra Nostra'를 그리스 음반사 Lyra에서 발매했고, 이 앨범은 2003년 ECM을 통해 재발매되어 미국 투어로 이어졌다. 그녀의 초기 앨범 대부분은 그리스 음반사 Lyra에서 발매되었으나, 2005년 앨범 'Sumiglia'부터는 ECM 소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6]

야나투는 작곡가로서도 활동하며 자신의 앨범 '인어의 꿈. 알렉산더 왕은 살아있는가?'(Dreams Of The Mermaid, 1986년), 'Rosa Das Rosas'(2000년) 등을 발표했다. 또한 연극, 무용극, 비디오 아트를 위한 음악 작곡도 활발히 하고 있다.[3] 대표적으로 그리스 국립 극장에서 상연된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1997년), 『바쿠스의 여신들』(2005년), 『Dibuk』(2006년)과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의 『Η Γυναίκα της Ζάκυνθος|이 기네카 티스 자킨투el』(The Woman of Zante, 2006년) 등의 음악을 작곡했다. 때때로 워크숍을 열어 배우와 음악가들에게 보컬 즉흥 연주를 가르치기도 한다.[4][5]

2. 4. 작곡가로서의 활동

야나투는 가수 활동 외에도 작곡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녀는 자신을 위한 음악과 노래를 작곡했는데, 대표적인 앨범으로는 '인어의 꿈. 알렉산더 왕은 살아있는가?'(Dreams Of The Mermaideng , 1986년)와 '로사 다스 로사스'(Rosa Das Rosaseng, 2000년)가 있다.[3] 또한, 연극, 무용극, 비디오 아트를 위한 음악 작곡에도 참여했다.[3] 주요 연극 음악 작업으로는 국립 그리스 극장에서 공연된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1997년), 『바쿠스의 여신들』(2005년), 『Dibuk』(2006년)과 솔로모스의 『Η Γυναίκα της Ζάκυνθος|이 이네카 티스 자킨투ell』(The Woman of Zante, 2006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Musique Des Chambres"와 같은 작품을 작곡했다.[3] 때때로 워크숍을 열어 배우와 음악가들에게 보컬 즉흥 연주를 가르치기도 한다.[4][5]

3. 음악적 특징

사비나 야나투는 고전 기타 레슨을 받고 야니스 누시아스의 어린이 합창단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다.[1] 이후 아테네에서 고고 게오르길로풀루와 스피로스 사카스에게 성악을 배웠고, 런던의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쳤다. 1979년부터 전문 음악가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2년 후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앨범 ''Εδώ Λιλιπούπολη''("리리푸폴리스 여기") 녹음에 참여하며 본격적인 음악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이후 많은 앨범을 발표하고 다수의 그리스 작곡가들과 협력했다.

1990년대 중반, 야나투는 재즈 및 전통 음악가들과 함께 '프리마베라 엔 살로니코'(Primavera en Salonico)라는 밴드를 결성했다. 이 밴드는 초기에 세파르딕과 지중해 지역의 노래를 주로 다루었으나, 점차 세계 여러 지역의 음악으로 범위를 넓혀갔다. 이 과정에서 야나투는 후두 발성, 방언, 율동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악 기법을 탐구하며 자신의 음악적 표현을 확장했다. 프리마베라 엔 사로니코는 세파르딤 전승곡 재현 프로젝트로 시작했지만, 이후 지중해 연안을 넘어 다양한 지역의 음악과 즉흥 연주 요소를 결합하며 범지중해적 현대 전통 음악의 재발견이라는 평가를 받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야나투의 레퍼토리는 주로 그리스 음악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고대 음악 앙상블(Εργαστήρι Παλιάς Μουσικής)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프리 재즈아방가르드 음악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여왔다. 이러한 탐구는 배리 가이, 피터 코왈드, 플로로스 플로리디스, 귄터 피치하이더, BPM의 제럴드 프라인팔크, 켄 반데르마크, 수산 데이힘, 크라우트록 그룹 Can의 다모 스즈키, 앙상블 콘스탄티노플의 키야 타바시안 등 국제적인 음악가들과의 협업으로 이어졌다.[2]

그녀는 잘 훈련된 보컬 테크닉을 통해 클래식 성악적 배경을 엿볼 수 있지만, 스스로를 클래식 성악가로 규정하지 않으며 곡의 특성에 맞춰 자연스러운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다.[16] 그녀의 목소리는 투명하고 아름다운 소프라노부터 후두 싱잉이나 새소리를 모방한 듯한 보이스 퍼포먼스까지 아우르며, 다루는 음악만큼이나 폭넓은 표현력을 보여준다.

음악적 영향으로는 초기 자립적인 여성상으로서 조안 바에즈, 보컬 스타일 면에서 몬세라트 피게라스, 이후 목소리의 따뜻함과 이야기 전달의 중요성 측면에서 레너드 코헨, 보컬 표현의 가능성 확장 면에서 다이아몬다 갈라스를 언급했다.[17]

야나투는 작곡가로서도 활동하며("인어의 꿈. 알렉산더 왕은 살아있는가?", "로사 다스 로사스", "Musique Des Chambres"), 연극, 무용극, 비디오 아트를 위한 음악도 작곡했다.[3] 또한, 배우와 음악가들을 대상으로 보컬 즉흥 연주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한다.[4][5] 초기 앨범은 주로 그리스 음반사 ''Lyra''에서 발매되었으나, 2005년 앨범 ''Sumiglia'' 이후로는 ECM 소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6]

4. 음반 목록


  • 이전에 발매된 자료를 포함하는 컴필레이션은 포함되지 않음.


5. 공연을 위한 작곡

오르페우스에우리디케아스파시아 크랄리침묵의 극장1997메데이아니카이티 콘투리그리스 국립극장2005바카이소티리스 하자키스그리스 국립극장2006디부크
두 세계 사이소티리스 하자키스그리스 국립극장2007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소티리스 하자키스테살리아 극장Η Γυναίκα της Ζάκυθος소티리스 하자키스이밋토스 축제2008코카서스의 백묵원소티리스 하자키스북그리스 국립극장


참조

[1] 웹사이트 Δρόμοι http://www.ert-archi[...] Hellenic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7-30
[2] 웹사이트 La Nuit Aux 1000 Oreilles http://www.dailymoti[...]
[3] Youtube Radart Team Improvisation https://www.youtube.[...]
[4] Youtube Vocal improvisation workshop https://www.youtube.[...]
[5] Youtube Vocal improvisation workshop https://www.youtube.[...]
[6] 웹사이트 ECM 2057 http://www.ecmrecord[...]
[7] Youtube Περί γυνής https://www.youtube.[...]
[8] Youtube Μόνο https://www.youtube.[...]
[9] Youtube Η γάτα του Σιάμ https://www.youtube.[...]
[10] Youtube Τεράστια φωτιά https://www.youtube.[...]
[11] 웹사이트 Ιστορίες αποχαιρετισμού http://www.theseum.g[...] Theseum Ensemble
[12] Youtube Ah mon Dié https://www.youtube.[...]
[13] Youtube Adieu paure carnavas / وا حبيبي https://www.youtube.[...]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